청정한 자연이 그리운 요즘, 푸릇푸릇 푸르른 그 곳 여행
우리가 꿈꾸는 이상적인 낙원의 기억 담은 회화 작품 전시
싱그러운 휴식과 위안을 주는 존재로서 자연을 재발견하는 작가 황다연의 개인전
2019-03-19 18:26:15 , 수정 : 2019-03-19 18:57:18

[티티엘뉴스] 싱그러운 휴식과 위안을 주는 존재로서 자연을 재발견하는 작가 황다연의 개인전을 롯데갤러리 잠실점(3/7~3/24)과 일산점(3/28~4/21)에서 열린다. 황다연 작가는 끝을 알 수 없는 푸른 바다와 하늘, 화면 가득히 펼쳐진 초록빛의 나무 등 우리가 꿈꾸는 이상적인 낙원(paradise)에서의 기억을 담은 회화 35여점을 선보인다. 

 

▲ 황다연,  Today

 

황다연 작가는 몇 해전 몰디브로 여행을 떠났고 눈앞에 펼쳐진 자연에 경이로움을 느꼈다. 하늘과 바다, 땅이 연결되어 경계를 알 수 없고, 가끔씩 보이는 인공물조차 원래 거대한 자연에 속한 듯 순응적인 모습이었다. 새소리, 바다 소리만 가득한 그 곳에서 작가는 자연에 완전히 속한 느낌이 들었고 여유로움으로 정신과 육체가 충만해져 갔다. 그 곳에서의 경험을 계기로 작가는 파라다이스를 그리기 시작했다. 


그녀는 대자연에서의 무한함과 안락함, 치유의 느낌을 구현하기 위해 선과 색을 세밀하게 사용한다. 특히 선은 평온함과 부드러움, 조용함을 느끼게 하는 주된 요소로 기능한다. 화면을 크게 분할하는 정적인 수평 구도는 대자연의 광활함과 안정감을 잘 표현하고 있고, 뻗어나간 나무의 가지선은 바람의 방향을 담고 있다. 또한 자연의 오묘한 색의 변화는 한 번의 붓질로 표현하기 힘들기 때문에 여러 번 관찰하고 덧칠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그림 속 색은 맑지만 가볍지 않고 밀도가 느껴진다.

 

▲ 황다연,  Bloom

 

황다연의 파라다이스는 쉽게 범접할 수 없는 천상의 그곳이 아닌 일상과 가까운 어디쯤이다. 자연과 만나는 순간이라면 누구나 낙원을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소소한 기회일지라도 기억은 위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적이고 삭막한 것들이 대부분인 도시의 삶을 사는 우리에게 가끔씩이나마 마주하는 자연은 늘 휴식과 위로를 준다. 그리고 여행은 새로운 자연과의 만남을 주선한다. 도시에서의 복잡함, 잿빛을 걷어내고, 푸르고 푸른 그곳으로 떠나보자. 나만의 파라다이스를 만날 수도 있을 것이다. 

 

▲ 황다연,  illusion_2

 

 

작가노트
 


현대사회의 특성은 액체에 비유할 수 있다고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은 말한다. 고정된 형태 없이 어디로든 흐르고 가볍게 넘나들며, 경계를 무화하는 것, 그래서 개념적으로는 유동성, 유연성, 탄력성을 논할 수 있는 것으로써 액체의 시대, 즉 리퀴드 모더니티(Liquid modernity)는 우리의 지금, 여기이다. 현대사회는 빠르게 상품을 폐기하고 구입할수록 시대에 뒤처지지 않는 사람이라는 상징자본을 얻는다. 우리는 자유를 얻었지만 개인은 영원히 충족되지 않는 욕구를 유지하고 갈망한다. 작가의 파라다이스는 이러한 갈망 속에서 만들어 졌고, 파라다이스의 허구를 이야기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단면을 파라다이스라는 세계로 그려낸다.

 

▲ 황다연,  Paradise 7


파라다이스는 사람의 흔적들로만 채워진 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그날의 날씨, 시간, 바람, 향기까지 기억한다. 낙원은 실제 존재하는 공간이며, 작가의 개인적인 기억과 상상을 더해 현실 공간 속으로 이상적인 자연을 가져온다. 작가가 머무는 곳이 작업의 소재이며, 자연의 고유색을 반영하여 파라다이스를 그린다. 누구나 한번쯤은 가보았던 곳, 어딘지 모르지만 익숙한 장소들이 낙원처럼 느껴지며, 평범한 장소에서 판토피아(Pantopia)를 꿈꾸길 원한다.

 

▲ 황다연, Paradise 3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이질적인 오브제들(석고상, 선인장등)은 이 세계가 온전한 유토피아가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를 각성하게 하는 오브제들을 구성함으로써, 파라다이스는 허구임을, 이상향은 없는 것임을 느끼게 된다. 작가가 머무는 곳이 작업 소재이며 이 기억의 파편을 모아 질서(system)를 세우고 완벽한 파라다이스를 만든다.


 
질서를 만드는 조건에는 색과 선 그리고 구도가 사용된다.


1.색(colour)_이상적인 파라다이스를 표현하기 위해 작가는 비렌의 색채조화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색감을 표현하고 있다. 편안한 느낌을 주기 위해 흰색과 순색(color)을 섞어 눈에 자극적이지 않은 명색조(Tint)로 만들어 작품을 그려내어 작가만의 낙원을 재해석 하고 있다. 이렇게 계산되어 만들어진 다채로운 명색조 색감들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근대인의 갈망을 나타낸다. 

 
2.선(line)_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는 수평선이 자연의 무한함을 보여주는 구도라 했으며, 수평선은 고요함이나 휴식을 느끼게 해주는데 이것은 우리가 누워있는 모습으로부터 휴식이나 수면상태를 연상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무한함은 자연의 경이로움과 맞물려 사람들 마음에 감동을 줄 수 있다. 수평선은 하늘과 바다와 땅을 이어주기도 분할하기도 하는 역할을 하고, 물결을 묘사한 선은 감정적인 요소로써 작품에 반영된다. 선은 격노한, 행복한, 자유스러운, 조용한, 흥분한, 우아한, 춤추는 듯한 각종의 형용사를 생각할 수 있는데, 작품에서의 선은 조용하면서 자유스럽고 안정감을 주기 위한 선의 역할을 한다.
 
 
3.구도(composition)_풍경작품을 이루는 주된 요소는 하늘, 바다, 지면이기 때문에 구도설정이 중요하다. 전체적인 균형을 위해 수평과 수직을 사용한다. 전체 캔버스의 40%-60%의 여백을 확보를 하여 무한한 풍경을 담아낸다. 여백을 강조하기 위해 구름까지도 확장(위치를 지면에 가깝게 조정)한다. 부수적인 것들을 제외하고 수평선을 이용해 운동감을 감소시킨다. 

 

최대한 단순하게 구도를 설정해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의도한다. 구도를 단 한 번에 지각 할수록 있도록 하는 것은 편안함을 주기 위해서이다. 시각적인 안정감은 우리가 바다를 볼 때 느낄 수 있는 풍경이고, 대자연을 관찰하는 일은 본인의 몫이다. 그래서 작품 속에는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다. 수용자가 1인칭 시점으로 작품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이상향을 탐색하길 원한다.

 

작가가 만든 허구의 세계는 현대사회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경쟁이 치열해지고 소셜미디어가 가속화 될수록 작품을 그리는 원동력이 된다. 삶에 지친 이들이 여행을 하는 것과 같다. 여행은 보는 것을 넘어서 즐거움을 탐색하며, 자신만의 어떠한 가치를 찾을 수도 있다. 여행에서 느끼고, 문화를 경험하고, 자연을 탐색하는 일은 파라다이스를 그리는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 

 

파라다이스를 통해서 이질적인 오브제들을 관찰하거나 파라다이스가 허구임을 관람자가 알게 되는 것은 불쾌를 동반하지만, 곧 이 불쾌가 해소됨으로 인해 개인의 욕망은 표면위로 드러난다. 지금 저기 어딘가에 있을지도 모르는 초월적인 유토피아보다 언제 어디나 존재할 수 있는 판토피아(Pantopia)로 관람객이 스스로 관철시키길 바란다. 파라다이스는 허상일 수 있고, 주관적이며, 환영일 수 있기에 수용자만의 파라다이스를 전개하길 희망한다. 이것은 역설적이게도 파라다이스의 실존을 더욱 간절하게 할 수 있으며, 곧 여기서 자신만의 ‘세계’라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관조하는데 관심을 두게 될 것이다.
 

 

황다연 작가는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으며 2007 제8회 대한민국여성미술대전 서양화 특선의 경력과 2017 네이버 프로젝트 꽃2, 그라폴리오 스토리, 네이버X어반플레이, The moment of a Life, 2017 Paradise society, 2015 일호 갤러리, 기억의 공간 등의 개인전과 단체전 경력이 있다.

 

 

권기정 기자 john@ttlnews.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