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한국 증시 전망] 코로나 뉴노멀··· 언택트·바이오 관심 증폭
2020-07-06 09:54:16 , 수정 : 2020-07-06 11:52:02 | 양재필 기자

[티티엘뉴스]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장기화된 영향으로 금융투자자본의 축이 전에 없던 거대한 움직임을 시작했다. IT 중심의 제조업은 힘을 잃어가고, 언택트(비대면)와 미래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기업에 대한 프리미엄이 급등하고 있다. 초저금리로의 전향적인 행보와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투기 견제 정책도 금융투자자본의 유동성을 빠르게 증가시키고 있다. 


바야흐로 코로나가 일상화된 세계, 불확실성이 만성화된 시대. 코로나가 만든 뉴노멀(New Normal; 시대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표준)의 시대를 저주만 할 것인가, 극복하며 나아갈 것인가의 선택은 오로지 투자자의 인사이트에 달려있다.

 

전통산업 부진··· 헬스케어·언택트 수혜 업종 고공행진

 

주식 시장 반등과 무관하게 코로나19 2차 확산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가운데 당분간 종목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성장주 중심 업종별 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노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실리콘 밸리와 보스턴은 수월한 재택근무 환경과 헬스케어 수요 확대로 경제 활동 재개가 빠르게 진행되는 데 비해 제조업이 발달한 러스트 벨트의 회복세는 상대적으로 더디다"며 "주별 격차는 관광, 카지노와 같은 경험적 소비보다 IT서비스, IT제품, 헬스케어 등 신산업 수요 회복이 먼저라는 점을 보여주며, 이는 주식시장에서도 비슷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인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리스크가 부각되는 상황에서는 기간 조정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며 "실물 경기 회복 기대감에 올라온 업종은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업종 등 언택트 수혜주에 대한 관심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2개월 연속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 바이오·헬스·반도체·2차전지의 수출은 빠르게 회복되는 반면 철강·석유·일반기계 품목은 내년 하반기에야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국내 11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대상으로 ‘15대 주력품목에 대한 수출시장 전망’을 조사한 결과, 주력 업종간 회복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은 향후 수출 회복 또는 성장이 가장 빠를 것으로 전망되는 품목으로 바이오·헬스(24.0%), 2차전지(23.3%), 반도체(22.0%), 컴퓨터(10.7%), 무선통신(8.0%) 등의 순으로 꼽았다. 이들 품목의 회복 또는 성장 예상 시기에 대해서는 바이오헬스는 이미 시작(88.9%)됐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2차전지는 올해 3분기(60.0%)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반도체는 이미 시작(50.0%)과 올해 3분기(50.0%)라는 의견이 동률로 나타났다. 수출 시장에서 회복이 가장 더딜 것으로 전망되는 품목은 철강제품(22.0%)·석유제품(15.3%)·일반기계(13.3%) 등의 순으로 이밖에 석유화학(9.3%)과 섬유류(9.3%)를 꼽았다.
 

이들 품목의 수출 회복 시기에 대해서는 철강제품은 ‘내년 하반기’(33.3%)가 우세한 가운데 ‘2022년 이후’라는 의견도 22.2%에 달했다. 일반기계는 ‘내년 하반기’(33.3%), 석유제품은 ‘내년 상반기’(57.1%)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5월 수출입 동향’도 이러한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봉쇄조치로 자동차, 자동차부품 및 휘발유 등 석유제품 수출이 2개월 연속 악화된 반면 K-방역 명성과 언택트 문화 확산에 따라 바이오·헬스 품목과 노트북 등 컴퓨터 품목의 수출 실적 증가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이후 한국의 수출액은 3월 464억달러에서 4월 366억달러, 5월 349억달러로 2개월 연속 감소했으며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4월 –25.1%, 5월 –23.7%로 두 달째 마이너스 20%대를 기록한 것으로 산업부 발표(잠정치)를 통해 나타났다. 국내 15대 주력 품목의 수출은 4월 컴퓨터와 바이오헬스를 제외한 13개 품목이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인데 이어 5월에는 반도체와 선박을 포함한 4개 품목을 제외한 11개 품목이 감소했다. 이들 11개 품목 중 8개 품목의 수출실적은 4월보다 더욱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로 보면 5월 기준 수출비중 상위 5개 품목 중 반도체(7.1%)가 소폭 오른 반면 일반기계(-27.8%)·석유화학(-34.3%)·자동차(-54.1%)·철강(-34.8%) 등 4개 품목의 수출은 급감했다. 수출이 가장 많이 증가한 품목은 컴퓨터(82.7%)·바이오헬스(59.4%)·선박(35.9%) 등의 순으로, 수출이 가장 감소한 품목은 석유제품(-69.9%)·자동차부품(-66.7%)·자동차(-54.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 봉쇄조치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물리적 이동이 감소하고 경제활동이 위축되면서 경기변동에 민감한 자동차·자동차부품·섬유·철강 등 국내 주력 품목의 수출은 악화됐다.
 

 

반면 진단키트 등 한국산 방역제품과 의약품에 대한 선호로 전염병 예방․관리용 의약품·의료용품 등 바이오․헬스 품목이, 재택근무 등 비대면 업무활성화 및 관련 활동 증대에 따른 노트북 등 수요 증대로 컴퓨터 품목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에 따라 지난 4월 금·은·백금 수출이 급증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수출산업 부진의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 코로나 전염병의 재확산 가능성 등 코로나 불확실성(51.4%)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다음으로 글로벌 수요 감소(15.2%)와 미중 패권갈등’(15.2%)을 선택했다.
 

또 수출부진 해소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투자 지원 확대’(45.4%)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규제개선 및 세제감면 등 기업환경 개선’(30.3%), ‘주요 품목 수출국에 대한 정부의 통상여건 개선 노력’(18.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빠른 회복세의 바이오·헬스·2차전지·반도체와 컴퓨터 부문에는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고전하고 있는 철강·석유·일반기계 부문에는 규제개선 및 세제감면 등을 통해 기업환경을 개선하고 투자활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리서치센터장들은 강조했다.
 

이는 전문가들이 한국의 수출 위기는 코로나19와 미·중 갈등과 같은 외생변수에서 초래됐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력 향상 등 내실 강화를 통한 자체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는 것을 지적한 것으로 분석된다.

 

K-바이오의 시대, 다시 만드는 부의 지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몰고온 산업 지형의 변화로 주식 부자들의 순위도 크게 바뀌고 있다. 기존 제조업 중심의 대기업 오너의 얼굴은 점점 사라지고 비대면(언택트)ㆍ바이오 기업 오너들이 속속 등장했다.


15일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지분을 보유한 상장사 지분평가액은 지난 3월2일 16조6478억원에서 6월12일 15조5747억원으로 1조731억원(6.45%) 감소했다. 하지만 유일하게 10조원을 넘기며 부동의 1위를 유지했다.
 

주식부자 2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으로 삼성물산 , 삼성생명 , 삼성에스디에스 , 삼성엔지니어링 , 삼성전자 , 삼성화재 등 6개 종목의 지분평가액이 7조445억원에서 7조681억원으로 0.33% 증가했다. 이건희 회장과는 8조5066억원에 이르는 격차다.


다음으로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5조7757억원), 최태원 SK 회장(3조6208억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그룹 회장(3조4568억원), 김범수 카카오 의장(3조3259억원), 정몽구 현대차 그룹 회장(3조2115억원), 홍라희 전 리움 관장(2조8322억원),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2조1655억원), 방준혁 넷마블 의장(1조9797억원) 등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서정진 회장은 3월 대비 지분 가치가 2조2380억원(63.26%) 오르면서 눈에 띄게 순위가 상승했다. 연초 7위에서 3월 4위로 급등했고, 최근에는 3위로 올라섰다. 김범수 의장 역시 지분 가치가 1조1359억원(51.87%) 늘면서 8위에서 6위로 뛰어올랐고, 김택진 대표는 4284억원(24.66%) 늘면서 기존 12위에서 9위로 10위권 진입에 성공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치료제 관련주로 부각되거나 대표적 비대면 서비스 관련 사업을 하고 있는 수장들이 두각을 나타낸 것이다.
 

기존 얼굴들 중에서는 최태원 회장의 활약이 눈부시다. 주식 부자 순위에서 3개월 새 3계단이나 급등했다. 100% 자회사인 신약 개발사 SK바이오팜이 내달 코스피 상장을 앞두고 있고, 최대주주로 있는 SK이노베이션 이 2차 전지 시장 확대 수혜 기대감으로 주식가치가 크게 치솟았기 때문이다.
 

 

반면 서경배 회장과 홍라희 전 과장은 각각 두 계단씩 하락한 5위와 8위에 위치했다.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1조9708억원) 역시 2계단씩 떨어진 7위와 11위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정몽구 회장은 연초 4위에 비해 3계단이나 순위가 떨어졌다. 현대차 일가의 순위 하락세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테슬라를 필두로 한 전기차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내연기관차 중심인 현대차 그룹의 주가가 크게 힘을 받지 못한 영향이 컸다.
 

이러한 언택트 바이오에 대한 광풍은 최근 상장한 SK바이오팜의 인기에서도 여실 없이 드러났다. SK바이오팜 상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SK그룹의 대부분의 종목은 바이오팜 상장전임에도 이미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내달 2일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앞둔 SK바이오팜은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에서 31조원에 달하는 증거금이 몰리면서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24일 NH투자증권에 따르면 SK바이오팜의 일반 청약 물량인 391만5천662주에 대해 총 12억6천485만3천70주의 청약 신청이 들어왔다. 이에 따라 청약 경쟁률은 323.02대 1로 집계됐다. 통합 경쟁률 기준으로 계산하면 증거금(증거금률 50%) 1억원으로 약 4080주(주당 4만9천원)를 청약한 투자자의 경우 12주 정도의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회사별로 보면 한국투자증권이 351.09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고 그 외 NH투자증권(325.17대 1), 하나금융투자(323.30대 1), SK증권(254.47대 1) 등 순이었다. 청약 증거금은 총 30조9천899억원이 모집됐다. 이는 지난 2014년 제일모직이 세운 역대 최대 증거금(30조649억원) 기록을 웃도는 금액이다.


당시 제일모직은 574만9천990주 모집에 11억2천57만3천920주의 청약이 들어오며 194.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이로써 SK바이오팜은 국내 기업공개(IPO) 역사상 최대 청약 기록을 새로 썼다.
 

이노정 한국투자증권 영업부 상무는 "청약 마지막 날이라 투자 열기가 더욱더 뜨거웠다"면서 "막판에 청약이 몰리면서 일부 투자자는 경쟁률이 더 낮은 회사로 자금을 이동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어 "고객 가운데에는 1인당 최대 청약 한도인 12만주(한국투자증권 기준)에 대해 29억4천만원어치 증거금을 넣는 고객도 꽤 있었고 10억원, 20억원 정도 청약을 신청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SK바이오팜은 지난 2011년 SK의 생활과학(라이프 사이언스) 사업 부문이 단순 물적 분할되면서 설립된 중추신경 관련 신약 개발업체다. 이 회사는 국내 제약사 가운데 처음으로 자체 개발한 신약을 기술수출하지 않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직접 판매허가를 신청해 승인을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총 공모 금액은 9천593억원으로 지난 2017년 5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셀트리온헬스케어(약 1조88억원)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규모다.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3조8천373억원이다.


투자 전문가들은 앞으로 제약·바이오주에 대해 길게 보면 더 오르겠지만 단기간에 많이 올라 새로 매수하려면 부담이 커진 게 사실이라는 평가다. 유동성이 세계적으로 많이 풀린 데다 다른 기업들의 실적이 안 좋다 보니 실적보다 기대가 더 많이 작용하는 바이오주로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 급락 위험을 줄이고 싶은 투자자는 주가 조정을 기다리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주의 위상이 높아졌다고 해도 호재와 악재에 따라 계속 주가가 크게 요동칠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는 것이다.  

 

양재필 기자 ryanfeel@ttlnews.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