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63빌당 사옥 전경. [사진=한화생명]](https://cdn.ttlnews.com/news/photo/202511/3052924_593785_1618.jpg)
한화생명이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 시행에 맞춰 종신보험에 대한 고객 인식과 새로운 활용 가치를 분석한 소비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서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49.4%가 종신보험의 가장 큰 불만으로 '당장 받는 혜택이 없다'고 선택했다고 24일 밝혔다.
한화생명과 KMAC이 함께 9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전국 30세 이상 성인 남녀 101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는 종신보험의 인식 현황과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살펴보고 생명보험의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을 분석했다.
![[자료= 한화생명]](https://cdn.ttlnews.com/news/photo/202511/3052924_593662_158.png)
조사 결과, 응답자 중 절반에 가까운 49.4%가 종신보험의 가장 큰 불만으로 '당장 받는 혜택이 없다'를 꼽았다. 이어 '보험금의 가치 하락'이 23.3%, '유연하게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21.1%로 나타났다. 종신보험은 여전히 '가족 사랑과 책임감'을 상징하지만 '비싼 보험료'와 '비유동성 자산'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는 종신보험의 사후 중심 구조를 생전 중심으로 전환하는 혁신적 기능으로 평가받았다. 제도 설명 후 매력도는 평균 64.7점, 긍정 응답은 53.4%에 달했다. 제도를 통한 종신보험의 부정적 인식 완화 정도도 평균 63.74점, 긍정 응답은 50.7%로 절반 이상이었다.
![[자료= 한화생명]](https://cdn.ttlnews.com/news/photo/202511/3052924_593663_256.png)
이 제도가 도움이 될 상황으로는 '은퇴 후 노후 생활비'가 37.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대질병 의료비' 24.4%, '간병비' 23.3% 순으로 응답이 집중됐다.
![[자료= 한화생명]](https://cdn.ttlnews.com/news/photo/202511/3052924_593665_40.png)
연령대별 분석에서는 40~50대 기혼 유자녀 가구가 종신보험의 전통적 가치인 가족 보장과 신규 가치인 생애 자산 활용에 모두 높은 공감도를 보였다. 이들은 가족 부양과 동시에 본인 노후 대비 니즈가 강한 세대로, 종신보험 유동화 제도에 가장 실질적 수요를 느끼는 핵심 집단으로 나타났다. 40대와 50대는 각각 41.0%, 44.9%가 은퇴 후 생활비 보완에 대한 니즈를 보였으며, 능동적 자산 활용에 대한 공감도 또한 높게 조사됐다.
![[자료= 한화생명]](https://cdn.ttlnews.com/news/photo/202511/3052924_593666_453.png)
응답자들은 상품 구조의 투명성 강화와 함께 '요양·간병 서비스' 등 실질적 부가 서비스 결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부가 서비스 결합에 대해 68.6%가 찬성 의사를 표명하며 고객 신뢰와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제시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을 '사후 보장'에서 '생전 자산'으로 확장하는 제도적 혁신"이라며 "고객이 생애 전반에서 보험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