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기 광주광역시의원
박수기 광주광역시의원

[퍼블릭뉴스통신] 박수기 광주시의원(광산구 수완·하남·임곡)이 26일 기아차의 미래차 국가산단 이전을 통해 광주를 AI 모빌리티 도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날 제38회 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발언을 통해 "광주는 6천억 원 규모 미래차 국가산단과 2조 5천억 원 규모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 거대한 인프라를 활용할 앵커기업이 없는 역설적 상황에 놓여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산업단지는 단순한 공장 부지가 아닌 혁신의 생태계"라며 "앵커기업이 있어야 부품사가 모이고 연구소가 들어서며 인재가 모인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기아차 이전이 이러한 문제의 해답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현재가 기아차 이전의 골든타임이라고 주장했다. 기아차 광주공장은 연간 72만 대 생산 능력을 갖추고 지역 제조업 매출의 38%를 담당하는 광주 경제의 핵심이지만, 내연기관 중심의 노후 공정으로는 미래차 전환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기존 공장을 개조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차 국가산단에 처음부터 AI 기반 스마트 팩토리를 신축하는 것이 기아차와 광주 모두에게 최선의 선택"이라고 제안했다.

광주의 최적 조건도 강조했다. 전국 유일의 두 개 완성차 공장, 숙련된 자동차 인력, 탄탄한 부품사 네트워크에 국가 AI 데이터센터까지 갖춘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테슬라의 도조 슈퍼컴퓨터, 폭스바겐의 CARIAD, 도요타의 우븐시티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의 미래차 전략 사례를 들며 "광주에는 이 모든 것이 가능한 인프라가 이미 있다"고 강조했다.

이전 비용 문제에 대해서는 현 광천동 종전 부지 활용 방안을 통한 해법을 제시했다. 박 의원은 "도심 한복판의 대규모 부지인 종전 부지 활용 방안을 논의하면 이전 비용 문제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며 "지금까지 이에 대한 공식적 논의조차 시작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광주시에 기아차 미래차 국가산단 이전을 광주 미래 먹거리 확보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할 것, 종전 부지 활용 방안에 대한 공식 논의를 즉시 시작할 것, 광주시-기아차-정부가 참여하는 민관정 거버넌스를 구성할 것 등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지난 2024년 1월 이 자리에서 기아차 이전을 제안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도 앵커기업 유치 논의는 제자리"라며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의원은 "기아차 이전은 단순한 공장 이동이 아니라 광주가 내연차 시대의 낡은 옷을 벗고 AI 미래 모빌리티라는 새 옷으로 갈아입는 과정"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저작권 © 퍼블릭뉴스통신(Public news-network for TTL) 본 웹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됩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하며, 정책적으로 허용한 특정 AI 학습, 연구 및 활용을 허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