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DN은 24일 '새 정부 인공지능 전환(AX) 국정과제의 선도적 이행과 경영평가 우수성과 달성을 위한 전사 리더워크숍'을 개최했다.(사진=한전KDN)
한전KDN은 24일 '새 정부 인공지능 전환(AX) 국정과제의 선도적 이행과 경영평가 우수성과 달성을 위한 전사 리더워크숍'을 개최했다.(사진=한전KDN)

[퍼블릭뉴스통신] 한전KDN이 새 정부의 인공지능 전환(AX) 국정과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사적 역량 결집에 나섰다.

한전KDN은 24일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소재 본사 다목적실에서 '새 정부 인공지능 전환(AX) 국정과제의 선도적 이행과 경영평가 우수성과 달성을 위한 전사 리더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새 정부 123대 국정과제의 선제적 대응과 이행 성과 창출, 중장기 경영전략 조기 성과 달성을 위한 조직별 관리 체계 마련을 목표로 올해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전사 리더워크숍의 일환이다.

워크숍에서는 외부 전문가 특별 강연을 통한 국정과제 추진 방향 공유와 토론이 진행됐다. 이석환 국민대학교 교수가 '새 정부 AX 정책 방향과 공공기관의 역할'을 주제로 강연하며 AI 전환(AX)의 국가 비전, 3대·15대 선도 프로젝트, 공공기관의 역할 등에 대해 설명했다.

이 교수는 공공부문이 국가 디지털 전환의 주도적 실행기관으로서 AI 기반 업무혁신과 정책수행 체계 고도화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공공서비스 혁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디지털 기반 행정 효율 향상 등 공공기관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AX 핵심 방향을 제시하며 ICT 전문 공기업으로서 한전KDN의 역할 확대 중요성을 시사했다.

참석한 리더들은 사업 부문별 2025년 사업실적 전망과 현황 분석을 발표하고 개선 사항을 공유했다. 또한 2026년 목표 달성을 위한 조직별 전략과 핵심 추진 과제를 제시하는 한편, 올해 경영관리 및 주요 사업 전반의 혁신 성과를 환류하고 성과 향상을 위한 AI 중심의 경영혁신 및 공공성 강화 전략을 검토했다.

조직별 실행력 제고를 위한 리스크 관리와 현장 중심 업무체계 강화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이는 한전KDN이 국정과제 이행과 경영평가 우수성과 달성을 위해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전KDN 관계자는 "AX 국정과제는 공공기관이 나아가야 할 국가적 과제이자 경영혁신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기에 선제적인 대응이 무척 중요한 사항"이라고 밝혔다. 이어 "AI·클라우드·디지털 전력망 등 첨단기술 기반의 전사 혁신 가속화로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혁신을 이루기 위해 조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 © 퍼블릭뉴스통신(Public news-network for TTL) 본 웹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됩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하며, 정책적으로 허용한 특정 AI 학습, 연구 및 활용을 허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