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퍼블릭뉴스통신] 광주광역시의회가 자율주행 정책의 근본적 방향 전환을 요구하고 나섰다.
박필순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산구3)은 26일 시의회 제38회 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광주시의 자율주행 정책을 연구 중심에서 시민 체감형 상용화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광주시의 현재 자율주행 정책이 다른 지역에 비해 실질적 성과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광주는 '모두의 AI'를 내세우며 규제프리 AI 실증도시를 천명했지만, 현실은 서울의 자율주행 버스나 대전의 상용화 지구 조성에 비해 뒤처져 있다"고 밝혔다.
특히 광주시의 대표적인 자율주행 사업이었던 '무인 저속 특장차 규제자유특구' 사업의 한계를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 사업은 작년 11월 종료 후 후속 계획이 부재해 단기적 실증에 그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박 의원은 광주시가 추진 중인 AX(인공지능 전환) 실증밸리 조성을 계기로 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율주행과 AI가 더 이상 연구실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며 "광주의 AI는 시민들이 출퇴근길과 일상에서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일상의 기술'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의원은 구체적인 대안으로 '광주형 자율주행 5대 혁신 시범지구' 조성을 제안했다. AI 및 미래차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형, 관광형, 산학형, 복지형, 광역형 등 5개 유형의 시범지구를 만들자는 것이다.
박 의원은 "광주가 미래 모빌리티 선도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선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며 "유능한 행정의 힘으로 구체적 로드맵과 예산을 마련해, 광주가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가 주목하는 'AI 모빌리티 선도도시'로 우뚝 서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본회의에서는 박 의원이 대표발의한 '광주광역시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운영 조례안'이 최종 통과됐다. 이 조례는 광주시의 자율주행 정책 추진에 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